반응형
동학농민운동은 조선 말기인 1894년, 조선 사회의 내적 모순과 외적 압박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농민들의 대규모 반란이다. 이를 통해 당시의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상황과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동학농민운동의 배경
(1) 사회적 배경
- 지배층의 부패 : 조선 후기 관료체제는 부패와 비리로 얼룩져 있었습니다. 지방 관리들은 중앙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 각 지역에서 개인적 이익을 추구했으며, 수탈과 착취가 일반적이었습니다. 이러한 부패는 특히 농민 계층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습니다.
예 : 고부의 조병갑 군수는 농민들에게 강제로 불필요한 물품을 조달하게 하고, 만석보라는 저수지를 축조하며 추가 세금을 부과하는 등 횡포를 부렸습니다. - 지방 지배의 문란 : 지방의 유력 가문과 관료들은 농민들을 자신의 사적 이익을 위해 이용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향리와 아전들은 세금을 과도하게 징수하며 농민들의 생계를 위협했습니다.
(2) 경제적 배경
- 삼정의 문란 :
- 전정(田政) : 토지세를 과도하게 징수하거나 비율을 임의로 높였습니다. 토지가 없는 농민들까지 세금을 내야 하는 경우도 발생했습니다.
- 군정(軍政) : 군포 징수 대상에서 제외된 사람들(노인, 소년, 여성 등)에게까지 불법적으로 군포를 부과했습니다.
- 환곡(還穀) : 원래는 농민들에게 곡식을 빌려주고 갚게 하는 구제 제도였지만, 관리들이 이를 착복하거나 고리대로 운영하여 농민들이 더 큰 빚에 시달리게 되었습니다. - 외세의 경제적 압박 : 일본과 서구 열강의 경제적 침탈로 조선의 자주적인 경제 운영이 어려워졌습니다. 일본 상인들이 조선 시장에 진출하며 농산물 가격 하락과 생필품 가격 상승이 동시에 나타났고, 농민 경제가 더욱 악화되었습니다.
(3) 외적 배경
- 열강의 개입 : 조선은 일본과 청나라의 세력 다툼 속에서 주권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일본은 경제적 이권뿐만 아니라 정치적 영향력까지 확대하려 했습니다.
- 동학의 확산 : 동학은 최제우에 의해 창시된 민족 종교로, 민중의 고통을 위로하고 사회 변혁을 주장했습니다.
- 주요 사상 : 인내천(人乃天) → 모든 인간은 평등하며, 사람은 곧 하늘과 같다.
- 시천주(侍天主) → 하늘을 모시고 인간 본연의 존엄성을 깨닫는다.
- 동학은 반외세, 반봉건적인 성격을 띠며 농민들에게 강력한 지지를 받았습니다.
동학농민운동의 원인
(1) 정치적 원인
- 정부는 부패와 무능으로 민생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습니다.
- 탐관오리 처벌, 세금 경감, 부정과 횡포 제거 등의 개혁 요구를 외면했습니다.
- 조선 정부는 외세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여 농민들에게 신뢰를 잃었습니다.
(2) 사회, 경제적 원인
- 농민들은 삼정의 문란으로 고통을 받았고, 지주와 관료의 수탈로 농업 생산력이 하락했습니다.
- 농민층의 경제적 몰락은 전국적 불만을 증폭시켰고, 이는 민란의 잦은 발발로 이어졌습니다.
(3) 사상적 원인
- 동학은 봉건적 신분 질서를 부정하고, 인간 평등과 새로운 사회질서 구축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농민들 사이에서 강력한 사상적 기반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1) 1차 봉기 : 고부 농민 봉기
- 발단 : 고부 군수 조병갑의 폭정. 만석보를 설치하며 강제 노동과 추가 세금을 요구하였습니다.
- 전봉준 : 농민 지도자로 등장하여 탐관오리를 처벌하고 부당한 세금 철폐를 요구하였습니다.
- 고부 관아를 점령했지만, 관군의 진압으로 봉기가 일단락되었습니다.
(2) 백산 봉기
- 고부 사건 이후 농민들은 백산에서 다시 봉기.
- 4대 강령과 행동 지침 :
1. 탐관오리를 제거하고 새로운 질서를 만든다.
2. 일본과 서양 세력을 몰아낸다.
3. 국가와 민중을 보호한다.
4. 신분제를 타파한다.
(3) 황토현 전투와 전주성 점령
- 황토현 전투에서 농민군이 승리하며 세력을 확장하였습니다.
- 전주성을 점령하여 정부에 강력한 개혁 요구를 전달하였습니다.
- 정부는 농민군과 협상하여 전주 화약을 체결하였습니다.
(4) 집강소 설치
- 농민군은 전라도 지역에 집강소(자치기구)를 설치하여 새로운 행정을 시도하였습니다.
- 치안 유지, 세금 조정, 농민 보호 등의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5) 2차 봉기
- 청, 일 양국이 조선에 개입하며 농민들의 불만이 고조되었습니다.
- 우금치 전투에서 농민군은 일본군의 근대식 무기에 밀려 대패하였습니다.
- 지도자인 전봉준이 체포되고 운동은 종결되었습니다.
동학농민운동의 결과
(1) 농민군의 패배
- 농민군의 열정과 노력이 컸으나 무기와 조직력의 부족으로 패배했습니다.
- 주요 지도자 처형, 대규모 탄압으로 농민군이 해산되었습니다.
(2) 사회적 영향
- 농민들의 저항 정신은 항일 의병운동, 독립운동으로 이어졌습니다.
- 조선 사회에 민중 중심의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더욱 커졌습니다.
(3) 정치적 변화
- 동학농민운동 이후, 갑오개혁이 추진되었습니다.
- 신분제 폐지, 조혼 금지, 과부 재가 허용, 삼정 개혁 등 사회적 개혁이 시도되었습니다. - 일본은 동학농민운동을 조선 침략의 빌미로 삼아 청일전쟁을 일으켰고,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였습니다.
동학농민운동은 한국 근대사에서 민중이 주도한 최초의 대규모 개혁 운동으로, 비록 실패했지만 역사적으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습니다.
'역사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도 조약의 배경과 원인, 전개와 결과 (3) | 2024.11.26 |
---|---|
홍경래의 난의 배경과 원인, 전개와 결과 (2) | 2024.11.26 |
을미사변의 배경과 원인, 전개와 결과 (0) | 2024.11.25 |
갑신정변의 배경과 원인, 전개와 결과 (2) | 2024.11.23 |
갑오개혁의 배경과 원인, 개혁의 전개와 결과 (5) | 2024.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