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공부/한국사

갑신정변의 배경과 원인, 전개와 결과

by naridawm 2024. 11. 23.
반응형

갑신정변은 1884년(고종 21년) 급진 개화파가 주도하여 일으킨 정치적 사건으로, 조선 후기의 개화 운동 과정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다. 이 사건은 개화사상과 조선 내부의 정치적 모순, 국제적 정세의 변화를 배경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실패는 이후 조선의 개혁 및 국제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갑신정변의 배경

 

(1) 국내적 배경

조선 후기의 사회는 봉건적 질서와 신분 제도가 유지되는 가운데 내부 모순이 심화되고 있었다.

  • 경제적 혼란 : 삼정(전정, 군정, 환곡)의 문란은 농민들에게 과중한 부담을 안겼다. 특히 환곡 제도는 관리들의 부정부패와 결합해 농민 착취의 주요 수단으로 전락했다. 농촌 경제가 붕괴되면서 농민 봉기가 빈번하게 일어났다.
  • 사회적 불평등 : 양반 중심의 신분제가 여전히 강하게 작용하면서 계층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중인과 상민 계층에서도 개혁과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 정치적 부패 : 조선 후기 정치는 세도 정치와 외척 세력의 전횡으로 인해 국정 운영이 마비된 상태였다. 관리들의 부패와 무능으로 민생은 더욱 피폐해졌다.

(2) 국제적 배경

조선은 19세기 후반부터 국제적 정세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외세의 영향을 강하게 받게 되었다.

  • 서구 열강의 침투 : 서구 열강은 동아시아에서 중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다. 조선 역시 이들에 의해 개방 압력을 받았다.
  • 청나라의 내정 간섭 : 1882년 임오군란 이후 청나라는 조선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내정에 깊숙이 개입했다. 청나라가 조선의 자주권을 약화시키는 행보를 보이자 일부 개화파는 이를 타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일본의 메이지 유신 성공 :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통해 서구식 근대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하며 군사적, 경제적으로 급성장했다. 이는 조선 개화파들에게 강한 영향을 주며 일본식 개혁을 본보기로 삼게 했다.

 


갑신정변의 원인

 

(1) 급진 개화파와 수구파의 대립

조선 내부에서 전통을 지키려는 수구파와 근대화를 추진하려는 개화파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 수구파의 주장 : 수구파는 전통적인 유교적 가치와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들은 서구 문물과 외세를 배척하며 자주성을 수호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 개화파의 주장 : 개화파는 개혁을 통해 조선을 근대 국가로 변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정치 개혁과 군사 혁신, 경제 구조의 근대화를 강조했다.

(2) 급진 개화파의 불만

온건 개화파가 청나라와 협력하며 점진적 개혁을 추진한 반면, 급진 개화파는 청나라의 간섭이 조선의 발전을 저해한다고 판단했다. 일본의 도움을 받아 신속하고 대대적인 개혁을 이루고자 했다. 그러나 조선 정부 내에서 온건 개화파와 수구파가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어, 급진 개화파의 불만이 폭발하게 되었다.

 

(3) 일본과의 협력

급진 개화파는 일본 공사관과 협력하여 정변을 계획했다. 일본은 조선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들을 지원했으나, 당시 일본 정부는 청나라와의 충돌을 우려하여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갑신정변의 전개

 

(1) 정변의 준비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홍영식 등 급진 개화파는 일본 공사 다케조에 신이치로의 군사 지원을 약속받고 1884년 12월 4일 우정국 낙성 축하연에서 정변을 감행했다.

 

(2) 정변의 시작

  • 궁중 장악 : 급진 개화파는 축하연을 기회로 민씨 일파를 제거하고 고종과 왕비를 감금한 뒤 새로운 정권을 선포했다.
  • 개혁 정강 발표 : 정권을 장악한 개화파는 개혁 정강 14개조를 발표하며 새로운 정치 체제를 수립하고자 했다. 주요 내용은 조선의 자주독립 선언, 문벌 폐지, 조세 제도 개혁, 군제 개편 등이었다.

(3) 정변의 실패

  • 청나라의 개입 : 청나라는 신속하게 군대를 동원하여 정변을 진압했다. 일본군은 병력 부족과 내정 간섭을 우려해 조선을 지원하지 못했다.
  • 급진 개화파의 몰락 : 정변은 단 3일 만에 실패로 끝났고, 급진 개화파 지도자들은 처형되거나 일본으로 망명해야 했다.

 


결과와 영향

 

(1) 갑신정변의 실패 요인

  • 외세 의존의 한계 : 급진 개화파는 일본의 군사 지원에 지나치게 의존했으나, 일본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했다.
  • 국내 기반 부족 : 급진 개화파는 농민과 일반 대중의 지지를 얻지 못했으며, 군사력과 정치적 기반도 취약했다.
  • 청나라의 신속한 대응 : 청나라는 조선에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정변을 신속히 진압했다.

(2) 정치적, 사회적 변화

  • 보수화 경향 강화 : 갑신정변 이후 조선 정부는 개혁에 신중해졌으며, 보수 세력이 더욱 강화되었다.
  • 개화 운동의 정체 : 급진 개화파의 몰락으로 개화 운동은 위축되었으나, 이후 갑오개혁과 같은 후속 개혁의 밑거름이 되었다.

(3) 국제 관계 변화

  • 청나라의 영향력 강화 : 갑신정변 실패로 조선은 청나라의 내정 간섭이 더욱 심화되었다.
  • 일본과의 관계 악화 : 일본은 갑신정변 이후 조선에서의 영향력을 상실했으며, 이는 청일전쟁으로 이어지는 갈등의 배경이 되었다.

(4) 근대화 운동에 미친 영향

갑신정변은 비록 실패했지만, 조선에서 근대화의 필요성을 환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개혁 운동의 방향과 방식에 중요한 교훈을 제공했다.

 


결론

 

갑신정변은 조선 후기 정치, 사회적 위기와 국제 정세의 변화 속에서 나타난 근대화 운동의 대표적 사건이다. 이 정변은 실패로 끝났지만, 조선이 근대 국가로 나아가는데 중요한 교훈과 자극을 제공했다. 개혁의 필요성, 대중의 지지 기반의 중요성, 외세 의존의 위험성을 동시에 보여주며, 이후의 개혁과 독립운동에 중요한 이정표로 남았다.

 

 

 

 

2024.11.23 - [역사공부/한국사] - 갑오개혁의 배경과 원인, 개혁의 전개와 결과

 

갑오개혁의 배경과 원인, 개혁의 전개와 결과

갑오개혁(甲午改革, 1894~1896)은 조선이 근대 국가로 나아가기 위해 추진한 개혁으로, 일본의 강요와 내부적인 변혁 필요성이 결합하여 이루어졌다. 이 개혁은 조선 역사에서 근대화의 시작을 알

seoul-1991.tistory.com

2024.11.26 - [역사공부/한국사] - 동학농민운동의 배경과 원인, 전개와 결과

 

동학농민운동의 배경과 원인, 전개와 결과

동학농민운동은 조선 말기인 1894년, 조선 사회의 내적 모순과 외적 압박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농민들의 대규모 반란이다. 이를 통해 당시의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상황과 변화를 살펴볼 수 있

seoul-1991.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