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공부/한국사

[조선시대] 세도정치의 배경과 특징, 주요사건과 영향

by naridawm 2024. 12. 31.
반응형

세도정치(勢道政治)는조선 후기(19세기 초 ~ 1863년)에 왕권이 약화되고 외척(왕실의 혼인 관계를 통해 권력을 얻은 가문) 가문이 정치 권력을 독점하던 시기를 말합니다. 이 시기는 조선의 사회, 경제, 정치 전반에 걸쳐 혼란과 퇴보를 초래한 중요한 시기입니다.


세도정치의 배경

조선 후기 세도정치가 시작된 데에는 여러 배경이 있습니다.

 

정조의 사망과 왕권 약화

  • 정조는 조선 후기 가장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개혁을 추진했던 군주였습니다. 그는 탕평책(파벌 간의 균형을 유지)을 통해 붕당 정치의 폐해를 줄이고 국정을 안정시켰습니다.
  • 그러나 정조는 1800년에 갑작스럽게 사망했고, 그의 뒤를 이은 순조가 즉위할 당시 나이가 10세로 매우 어렸습니다.
  • 어린 왕이 즉위하면 정권 공백이 발생하기 마련이며, 이를 외척 가문들이 채우게 되었습니다.

외척의 권력 독점

1) 일본의 정치적 압박

  • 어린 왕을 보좌한다는 명분으로 왕비의 친정 가문이 권력을 장악하게 됩니다.
  • 대표적인 외척 가문은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입니다.
  • 이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정권을 운영하며, 점차 왕권은 유명무실해지고 정치의 질서는 붕괴되었습니다.

 


 

세도정치의 특징

세도정치는 조선 후기의 정치적, 사회적 혼란을 심화시켰으며,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이 나타납니다.

 

매관매직과 부패

  • 관리직은 돈으로 거래되었으며, 유능한 인재보다는 부유한 자가 관직에 진출했습니다.
  • 관리들이 관직을 구매한 후에는 그 비용을 회수하기 위해 백성들을 수탈했습니다.
  • 이러한 구조는 사회 전반에 부패를 만연하게 했습니다.

삼정의 문란

  • 삼정은 조선의 주요 세금 제도인 전정(토지세), 군정(군역세), **환곡(구휼미)**을 의미합니다.
  • 세도 정치 시기, 이 삼정이 극도로 문란해졌습니다.
  • 전정: 토지세가 부당하게 부과되고 관리의 착취가 심화됨
  • 군정: 병역 면제를 빌미로 관리들이 돈을 받아 부자만 면역받게 됨
  • 환곡: 백성을 구제하기 위한 곡식 대출 제도가 오히려 관리들의 횡포로 작동, 고리대로 변질됨

외척 간의 권력 다툼

  •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가 교대로 권력을 잡으며 정쟁을 벌였습니다.
  • 이 과정에서 국정 운영은 뒷전으로 밀려났고, 백성들의 고통이 가중되었습니다.

백성의 삶 악화

  • 세도 정치 아래에서의 부패와 착취는 농민들의 생활을 파탄으로 몰아갔습니다.
  • 탐관오리들의 횡포와 고리대로 인해 농민들은 생존 자체가 어려워졌습니다.

 


세도정치의 주요 사건

 

홍경래의 난 (1811~1812)

 

  • 조선 후기 대표적인 농민 반란으로, 평안도에서 발생했습니다.
  • 평안도는 당시 경제적 중심지였으나, 차별과 소외로 인해 주민들의 불만이 높았습니다.
  • 홍경래를 중심으로 소외된 계층과 몰락 양반이 합세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정부군에 의해 진압되었습니다.

임술농민봉기 (1862년)

  • 경상도 진주에서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확산된 농민 봉기입니다.
  • 삼정의 문란과 관리들의 수탈에 반발하여 농민들이 집단적으로 봉기하였으며, 이는 조선 후기 최대 규모의 농민 저항으로 평가됩니다.

 


세도정치의 영향

 

 

사회적 혼란

  • 탐관오리들의 횡포와 백성들의 저항으로 사회 전반에 불안정성이 심화되었습니다.
  • 농민들은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생존을 위해 봉기하거나 도적으로 변질되기도 했습니다.

국가 재정의 파탄

  • 매관매직과 부정부패로 인해 국고는 고갈되었습니다.
  • 삼정의 문란은 농민들의 세금 부담을 가중시켰고, 농업 경제 기반이 붕괴되었습니다.

대외적 약화

  • 세도정치의 결과로 조선은 국력의 약화를 피할 수 없었고, 이는 이후 서구 열강과 일본의 침략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세도정치의 종말

 

 

철종의 즉위와 한계

  • 철종은 세도정치 말기 왕으로 즉위했으나, 왕권은 여전히 외척에게 장악되어 있었습니다.
  • 이로 인해 실질적인 국정 운영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흥선대원군의 집권

  • 1863년 철종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고종이 즉위하며 흥선대원군이 정권을 잡게 됩니다.
  • 흥선대원군은 세도정치를 청산하고 왕권 강화를 통해 부패를 척결하고자 했습니다.

 


 

역사적 평가

 

세도정치는 조선 후기의 정치적 부패와 사회 혼란을 상징하는 시기로, 조선 사회가 근대적 개혁과 변화로 나아가기 전에 극복해야 했던 가장 큰 장애물로 평가됩니다. 세도정치의 부정적 유산은 이후 조선이 근대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반응형